성남시 공공심야약국 한눈에 보기 + 2025 추석 연휴 비상진료 안내 다운로드

성남시 공공심야약국 한눈에 보기 + 2025 추석 연휴 비상진료 안내

성남시 공공심야약국 한눈에 보기

+ 2025 추석 연휴 비상진료 링크 모음 (10/3~10/9)

성남시 공공심야약국 및 2025 추석 연휴 비상진료 안내 배너 이미지

2025년 10월 2일(목) 기준 안내입니다.
명절 연휴, 가장 당황스러운 순간은 가족이 갑자기 아플 때입니다. 특히 늦은 밤, 문 연 약국을 찾기란 하늘의 별 따기처럼 느껴지죠. 성남시가 시민 여러분의 든든한 건강 지킴이가 되어 드립니다.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공공심야약국추석 연휴 기간 문 여는 병·의원 정보를 총정리했습니다.

⚠️ 방문 전 필수! 연휴 기간에는 운영 시간이 유동적일 수 있습니다. 헛걸음하지 않도록, 방문 전 반드시 전화로 운영 여부와 필요한 의약품 재고를 꼭 확인하세요.

성남시 공공심야약국 목록 (연중무휴)

공공심야약국은 365일, 명절과 공휴일에도 밤늦게까지 문을 여는 고마운 존재입니다. 아이의 갑작스러운 고열, 명절 음식으로 인한 소화불량, 가벼운 상처 등 응급실에 가기엔 애매한 상황일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운영시간: 매일 22:00 ~ 25:00 (다음날 새벽 1시까지)

상호소재지전화번호
위례수약국수정구 위례서일로 18 (창곡동)031-756-0365
성남참조은약국수정구 수정로 175 (태평동)031-609-1113
산성메디칼약국수정구 희망로 551 (신흥동)070-8287-2387
더편한365모란약국수정구 성남대로 1169, 2층 (수진동)031-721-3650
마이팜약국중원구 산성대로476번길 6-1 (금광동)031-742-7202
대화약국분당구 중앙공원로39번길 7, 1층 (서현동)031-745-4422
행복한온누리약국분당구 정자일로198번길 15, 1층 (정자동)031-714-0288
청우약국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16, 지1층 (야탑동)031-725-2300

2025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의원/약국 공식 안내

심야시간 외에 낮 시간 동안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 정보는 성남시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공식 파일을 통해 가장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휴 기간 운영 기관 목록이 방대하여 파일로 제공되니, 아래 링크를 통해 우리 동네 정보를 직접 확인해 보세요.

가장 빠르게 찾는 방법 (권장)

매번 파일을 열어보기 번거롭다면, 아래 방법들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찾는 것이 가장 편리하고 정확합니다.

  • 응급의료포털 E-Gen: 국가에서 운영하는 가장 신뢰도 높은 시스템입니다.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에서 '지역'과 '날짜'를 선택하면, GPS 기반으로 내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부터 운영 중인 병원과 약국을 지도 위에 보여줍니다. 바로가기
  • 지도 앱 활용: 평소 자주 사용하는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연휴가 시작되는 10월 3일 0시부터 '응급진료', '명절진료', '심야약국' 등으로 검색하면 관련 정보가 반영됩니다.
  • 전화 문의: 디지털 기기 사용이 어렵거나 급할 때는 전화가 가장 빠릅니다. 비응급 의료상담은 129(보건복지상담), 간단한 운영 정보는 120(경기도 콜센터), 생명이 위급할 때는 망설이지 말고 119로 전화하세요.

이용 전 체크리스트: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연휴 기간에는 평소와 다른 점이 많습니다. 방문 전 아래 사항들을 확인하면 소중한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 헛걸음 방지를 위한 전화 확인: 방문 전 약국이나 병원에 전화하여 ① 현재 진료/조제가 가능한지, ② 필요한 의약품 재고가 있는지, ③ 접수 마감 시간을 꼭 확인하세요.
  • 처방전 유효기간 확인: 만성질환 등으로 기존 처방전이 있다면, 유효기간(보통 발행일 포함 7일)이 지나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정확한 정보 전달: 특히 보호자 없이 어르신이나 청소년이 방문할 경우, 현재 증상과 복용 중인 약 목록(스마트폰 사진)을 지참하면 의료진이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경증 vs 중증 구분하기: 감기, 몸살, 소화불량 등 비교적 가벼운 증상은 문 연 동네 병·의원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응급실은 중증 환자를 위한 공간임을 기억해주세요.

함께 보면 좋은 추석 연휴 정보

댓글 남기기